<창칼 19> 짜라퉁은 이제 짐 싸고 물러가라!
부제: 지혜완성의 핵심 매뉴얼(= 반야심경)과 자연과학의 만남
(반야바라밀다심경(般若波羅蜜多心經) : 반야 = 지혜; 바라밀 =완성; 심 = 핵심; 경 = 메뉴얼)
정보와 지식이 발달과 함께, 급격하게 진화하는 우리의 뇌가 신경 다발이 더 발달을 해서 이런 안목이 편안하게 받아들여지는 시대가 곧 오리라는 예감이 든다. 그 시점이 오면 ‘초인’ 나부랭이를 붙잡고 있는 우리 짜라퉁 도사는 이제 짐싸고 산을 아예 떠나야 할 지도.
- ?
-
(1)번 지적과 관련해서, 제가 이해하는 뇌과학의 입장을 보자면, 시간을 의식하는 것은 결국 우리 뇌의 기능인 ‘의식’이 있기 때문이라는 겁니다. 즉, (흐르지 않는 시간의 실체를 떠나), 인간 의식이 시간이 ‘흐른다’고 (왜곡해서) 의식하기 때문에 시간이 흐른다는 인식과 관념이 생겨난다는 것이죠. 우리 뇌가 시각, 청각 등등의 감각을 처리하는 방법을 보면, 감각으로 오는 정보를 있는 실재를 그대로 투영하고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고 우리가 생존에 필요하고 도움이 되는 방향에서 있는 실재를 왜곡, 편집해서 받아들이고 해석을 한다고 하는데, 같은 방식으로 흐르지 않는 시간도 흐른다고 해석을 함으로써 생존에 유리한 점을 취한다는 것입니다. 눈으로 보는 시각을 예를 들자면, 빛을 바라볼 때, 우리 눈은 적외선, 자외선 등의 수많은 다른 주파수의 광선들이 있지만, 이 모든 것을 무시하고 가시광선만 감지할 수 있는데, 이렇게 뇌가 가시 광선만 (왜곡, 축소해서) 보는 것이 생존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진화적으로 선택(?)을 해왔다고 볼 수 있고, 시간도 단선적 흐름이 없고 과거, 현재, 미래가 다 총체적으로 공존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우리 뇌는 사물(의 움직임)을 인과적으로 바라보는 경향으로 인해, 시간도 인과적으로 인식한다는 것입니다. 인과적으로 본다는 것은 결국 전과 후가 있는 움직임 혹은 흐름으로 인식한다는 것이죠. 여기까지가 제가 이해한 의식과 시간의 관계에 대한 것입니다.
-
?
공돌이 출신도 알기쉽게 정리해 주셔서 덕분에 현대의 뇌과학과의 연계성은 잘 모르겠지만 먼 남 얘기 같았던 반야심경은 책걸이 한 기분입니다. 땡큐.
혹시 머리 아플까봐 건너 뛰었던 창공님의 이전 강론들도 한번 다시 들처보아야 겠습니다~
저도 공돌이 출신이지만 감수성 예민헀던 중고등 시절 남들처럼 데미안, 어린왕자로 시작해서 니체에서 꽤 고생하다 노자를 알게 되었던 시절이 있었지요, 막판에 알게된 조르바의 삶을 동경하고 흉내내며 아무 생각없이 열심히 막 살아왔었는데 자꾸 던지시는 화두에, 그나마 얼마 남지않은 머리카락도 사라질까 걱정이라 적당히 거리를 두고 다시 고민 좀 해봐야 겠습니다 ㅎㅎ -
와~ 산천님의 삶이 역동적이었던 것은 다 이유가 있었군요. 조르바의 삶을 동경하셨다면 제대로 사신게 게 아닌가 몰라요.
저도 조르바의 삶을 동경한다는 착각아닌 착각을 하면서 살았다고 생각하는데, 제가 보건데 (허구 애기이긴 하지만) 그리스인 조르바야 말로 위에서 얘기한 관자재 보살 급이라고 생각합니다. 모든 것이 고정된 실체가 없는 걸 일찌기 깨달아서, 자기라고 내세울 아집과 에고를 버리고, 아니 비우고, 물이 흘러가듯이 '보살'의 삶을 살지 않았나 싶어서요.
몸은 조르바, 정신은 (모든 고정된 관념에서) 자유로운 붓다, 저는 나이가 들어도 그렇게 살고 싶은 소망입니다. 멋있는 소회 감사 드립니다.
-
아침에 다시 읽어 보니 "적당한 거리를 두고" 보신다는 말씀, 와 닿습니다. 그 표현 자체가 경계의 삶을 사는 초인의 경지가 아닌가 싶네요. 제가 너무 자의적 해석을 했나요? ㅎ
-
<창칼 14> 짜라퉁은 다시 이렇게 웃겼다 18
-
누굴 진짜 꼰대로 아나?? 8
-
<창칼 11> 자물쇠와 어머니 50
-
<창칼 10> 한국어 신화 깨기 10
-
<창칼 9> 본능과 진화 사이에서 8
-
<창칼 6> 개고생 vs. 꿀고생 7
-
<창칼 5> 개구리가 거기서 왜 튀어나와 ?!! 12
-
<창칼 4> 몰입 과학과 평범한 슈퍼휴먼 (통달- P... 12
-
<창칼 2> 통달의 평범성 (Part I) 6
-
악어와 별 13
-
행락객 12
-
얼마전 결혼한 아들놈에게.. 12
-
베이백수련합 (One Hundred Water Organization) 탈퇴... 2
-
매일 한줄 감사 일기를 써 봅시다 2
-
지촌님 글모음 (5) 12
-
EB님 장가 갑니다. 9
-
FAB/ 지촌 함께 쓴 요세미티 연가 2
-
지촌님 글모음 4 2
-
지촌님 글모음 2 1
-
지촌님 글 모음 1 3
개인적으로 불교 철학, 특히 반야심경을 좋아하는데, 핵심을 정리해주셨네요. 위에 정리해주신 것 중에서 핵심적인데 일반인의 시각으로 이해하기 힘든 내용: (1) "과거 현재 미래가 단선적으로 흐르는 것이 아니라 동시에 모두 함게 공존한다는 것": 타임머신도 아니고 이게 어떻게 가능한가 하는 점은 일반인이 이해하기 힘들죠. 아인쉬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을 이해해야 하는 정도이니... (2) "순간과 존재라는 개념은 시간과 공간 내의 사건들의 관계에 의해서만 만들어지는 것"이고, 따라서 "순간이라는 것도 실체가 없고 오직 관찰자가 개입했을때만 일어나는 착각"이라는 것도 핵심 중에 핵심인데, 일반인이 이해하기에 쉽지 않네요. 양자역학에 불확정성 원리에서 설명되어지는 것인데, 어느 한 순간의 전자의 고정값을 설정할 수 있는데, 고정값을 설정하는 순간, 전자는 끊임없이 움직이기 때문에, 다른 순간에 재면 그 고정값이 불확정적이라는 것이죠. 사물의 실체는 끊임없이 변화한다는 거죠. 불교의 개념과 현대과학이 만날 수 있는 지점이라고 생각해요. 관찰자가 개입한다는 것은 하나의 시점을 고정시킨다는 뜻인데, 시점을 고정시켜야만 관점이 생기고 자아가 생기는데, 사물은 끊임없이 변하고 있기 때문에, 고정시키면 마음에 고통이 생긴다는게 불교의 가르침이라 생각해요. 참 정리하기 힘든 내용을 정리해주셨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