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칼 35> 멈추고 가만히 바라보면 보이는 것들
-
여기서 논하는 명상은 어느 특정 종교의 수행법이 아닌, 병원이나 교육기관 등에서 채택하는 건강요법으로서의 테크닉입니다. 그리고 저는 비종교인임을 밝힙니다.하지만 그 테크닉에 있어서 역사적 발전 유래를 아는 것은 유용할 것 같습니다.미국에서 유행하는 Mindfulness(알아차림) 명상은 소위, 위빠싸냐(Vipasana)라는 마음챙김 명상에서 나온 것입니다. 옛날 태국 같은 남방 불교에서는 이런 관법인 위빠싸나(Vipassana, 알아차림) 명상을, 중국 같은 북방 불교에서는 사마타(Samata, 집중) 명상법을 더 강조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위빠싸나가 미국인들에게 각광을 받는 이유는 명상 과정 과정을 논리적으로, 언어친화적으로 하나 하나 잘 안내하고 설명해주기 때문에 논리적이고 합리적인 서양인들이 접근하기가 쉽기 때문입니다.반면 중국에서 나온 선불교는 ‘화두 들기’와 같은 강력한 집중법을 사용하는데, 이는 자잘한 언어적 설명을 배제하고, 강한 몰입으로 단번에 의식을 도약하는 밥법을 쓰기 때문에 서양인들에게는 잘 안 맞는다고 볼 수도 있습니다. 이런 집중법은 제가 앞글(링크)에서 설파한 몰입(FLOW)하고도 만나는 지점이 있습니다.위빠사나를 대표하는 현대의 지도자로는 베트남 출신의 틱 나한 스님이 있고, 집중법 중심의 명상은 한국 간화선 불교 명상법을 최초로 미국과 전세계로 전파한 숭산 스님이 있습니다.(참고로 저는 15여년 전에 하버드대에서 근무할 당시, 캠퍼스 가까이에 있는, 한국 숭산 스님이 창설한 캠브리지 선원(Cambridge Zen Center)에서 화두법의 중심을 둔 명상법을 수년 동안 수학한 바 있습니다. 하지만, 처음 명상을 접한 것은 20대 때 서양 스승들을 통해 관법인 위빠싸나(=mindfulness) 명상이었으니 좀 아이러니합니다. 동양의 전통을 서양인들한테 먼저 배우고, 돌아돌아 먼 훗날에 더 나이들어서야 한국 전통을 배웠으니 말입니다.)
-
명상을 하면서 부딪히는 가장 큰 장애가 생각입니다. 명상을 하려하면 오히려 생각이 더 많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때 생각을 멈추려 하거나 통제하려 하지 말고 생각을 그대로 놔두고 바라보기만 하는 게 도움이 됩니다. 일어나는 감정도 그냥 인지하고 바라봅니다. 바라보는 순간, 혹은 관찰을 하는 순간 생각과 감정은 힘을 잃고 꼬리를 내리며 사라집니다. 만약 통제하려고 하면 생각은 더욱 기승을 부리는 역설의 효과를 내게 됩니다.
이런 차원에서 생각과 의식은 다른 것입니다. 대뇌 작용을 통해 현실을 왜곡시키는 것이 생각이라면, 현실을 있는 그대로 바라보는 것이 의식입니다. 우리가 의식적으로 그대로 바라보기가 어려운 이유가 평생 생각의 노예로 살아왔기 때문입니다. 생각은 현실을 왜곡해서 바라보는 뇌의 작용이기 때문에 현실을 알아차리기 위해서는 생각과 분리를 해서 의식으로 바라봐야 하는데, 이 의식으로 바라보기가 바로 명상입니다. -
개인적인 경험으로 명상의 효과는 운동을 하고 나서 하면 배가가 되는 것 같습니다. 즉, 운동 중에 항진된 교감 신경이 운동 후에 반대로 부교감신경이 활성화되면서 최대의 이완이 오기 때문입니다.명상을 소개하는 영상들이 많지만 그저 스트레스 해소와 정신 건강에 효과가 있다고 하는 막연한 것들이 많고, 위 본문에서 설명한 것처럼 짧게 그 요체를 간파하도록 도와주는 영상물은 많지 않은 것 같습니다. 그나마 도움이 되는 영상 몇 개를 올려 드립니다.독일인이 유창한 한국어로 명상의 요체를 설명하는 영상: 알렉스 콘리의 "의식을 높이는 법" (링크)뇌를 쉬게 하는 최고의의 방법 (EBS, 골라듄 다큐):뇌과학자 장동선 교수: 명상의 효과는 과학적으로 증명할 수 있을까? (동영상 링크)
-
명상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많은 글이네요.
“명상을 자주 하면 자신에 대한 객관적인 이해가 커지고 안목도 높아지는 것이다. 한 마디로 지혜로워진다는 얘기다. 또, 직관이 열리고 창조성이 높아진다. 두려움을 관장하는 뇌의 '편도체'가 안정이 돼서 두려움과 불안에서 벗어난다. 긴장된 몸이 이완될 뿐만 아니라 행복감이 높아진다.”
불멍, 별멍, 물멍을 때리면서 명상을 해보는데.. 아직 초보자 수준에 머물러 지혜 단계까지 들어가기가 요원한 것같습니다.
-
피드백 감사 드립니다. 감사하는 마음으로 명상을 조금이라도 이해하는데 도움을 드리기 위해 한 코멘트 드려봅니다.'멍을 때리는 것이 과연 명상인가'입니다. 제 생각에는 그것은 뇌의 단순한 휴식에 불과한 게 아닐까 합니다. 물론, 뇌를 쉬어주는 것자체만으로도 정신 건강에 아주 좋다고 봅니다.
명상을 통해 지혜를 얻자면 집요한 자기 관찰이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자기 생각을 나라고 착각하는 나', '자기 감정을 나라고 착각하는 나', '끊임없이 생각으로 조작하는 나' 등을 알아채고 그것들이 나가 아니라는 것을 깨닫는 작업인 것이죠. 그러니, 그냥 아무 생각없이 앉아 있는 것을 넘어서 치열한 자기 탐색의 과정이 제대로 된 명상이라고 할 수 있을 겁니다. 관찰(=알아차림)이 집요하게 일어나기 위해서 '집중'의 힘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관찰과 집중이 합작이 이루어질 때 드디어 나의 의식(=메타인지)이 작동이 돼어, 생각과 착각으로 이루어진 나의 허상에서 벗어나서 거울 같은 참나를 찾고 마음의 자유를 얻는 것입니다. 아주 쉽게 말해서, 그 메타인지가 참나라는 겁니다.(직접 해 봐서 알면 쉬운데 말로 설명하려면 언어 자체가 이해를 막는 장애가 되기도 합니다. 그래서 중국 선불교에서는 '불립문자'라고 해서 모든 불편한 언어를 끊어 버리고 막바로 몰입과 같은 집중으로 들어갈 것을 주창하기도 했답니다. ^^)
-
A blessing in disguise in Portland, Oregon 6
-
<창칼 39> 내가 의지하는 가장 소중한 친구 4
-
<창칼 35> 멈추고 가만히 바라보면 보이는 것들 5
-
<창칼 34> 근테크를 얼마나 하시나요? 7
-
<창칼 29> 인간적인 아주 인간적인, 그리고 너무... 7
-
<창칼 28> 그게 뭐가 그리 중한디? (인슐린 저항) 15
-
<창칼 26> 가공할 만한 불편한 진실 6
-
<창칼 25> 나는 몸이다!! 9
-
<창칼 24> 치매를 침해하다 19
-
<창칼 18> 스페셜 인터뷰: 꼰대이면서 꼰대가 아... 4
-
<창칼 17> 중동 전쟁과 꼰성 6
-
<창칼 13> 나 꼰대다, 그래서 어쩌라고! 6
-
<창칼 12> 나도 꼰대라고? 12
-
<창칼 8> 암 치료법의 도그마와 신화 깨기 11
-
<창칼 7> 총과 약, 음모론과 진실 게임 12
-
<창칼 3> 나의 저탄 체험기 20
-
뇌 졸증 이야기 6
-
<창칼 1> 꺾여진 나무들과 역경의 유전자 9
-
카풀시 보험 및 개인 책임에 관하여 0
-
'뇌출혈' 구급차를 불러야하는 전조증상 3가지 (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