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예술
2024.10.16 15:49
<칼럼 40> 한강의 작품과 기억에 대한 소고(小考)
<칼럼 40> 한강의 작품과 기억에 대한 소고(小考)
최근에 있었던 “한강”의 노벨 문학상 수여 의미를 생각해 보았다.
여린 감수성의 소유자임에도 폭력에 대해서 온 몸으로 아파하면서 거부하고 저항했던 그녀. <소년이 온다>, <작별하지 않는다>에서 광주 5.18과 제주 4.3의 아픔을, 무섭고 떨리는데도 불구하고 그 여린 감성으로 치열하게 그려내야 했던 그녀.
그 폭력이 국가가 행한 것이든 개인이 행한 것이든, 그것을 감내하기가 얼마나 힘들고 또 아팠으면, 그녀는 <채식주의자>에서 폭력에 대한 저항의 의미로, 주인공 영혜가 차라리 나무가 되고자하는 열망을 품는 것으로 소설을 그려냈을까?
그리 멀리 보지 않더라도, 우리 주변에 진실을 외면하는 사람들, 폭력에 무감각함을 보이다가 그 폭력을 오히려 옹호해 버리는 사람들, 그런 처지를 위해 기억까지도 기꺼이 왜곡하는 사람들이 있다.
이렇게 진실을 마주하지도, 수용하지도 않고, 더 나아가 기억까지 왜곡하는 사람들의 심리는 무엇일까?
최근에 뇌과학의 권위자인 박문호 박사의 기억에 대한 강연을 통해 그 해답의 실마리를 찾았다.
사람들이 기억의 왜곡을 쉽게 감행하는 것은 사건의 “사실성”보다는 개인의 “일관성 (혹은 정체성)”을 지키려는 무의식적인 성향에서 비롯된다는 것이다. 개인의 태도나 입장을 “일관되게” 유지하고, 자신이 동일시하는 정체성을 지키기 위해 실제 경험한 사건조차도 기꺼이 자신의 입장에 맞춰서 변경을 한다는 것. 이처럼, 보통 사람들한테는 이 “일관성"의 원칙이 “사실성"을 더 압도하는 경향이 있는 관계로, 특정 사건에 대한 기억을 채색하거나 왜곡을 시키는 경우가 많은 것이다.
가끔, 양심이 강하거나 진실에 대한 강한 신념을 가진 사람들도 있다. 이런 사람들은 기억을 자신의 입맛에 맞춰 왜곡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의 사실에 바탕을 두고 과거 사건을 기억하려 한다.
인류의 진화 과정을 알면, 이렇게 일관성의 원칙에 따라 기억을 각색하는 사람들을 쉽게 비난하지는 못 할 수도 있다. 그것은 자신을 보호하고 생존해 나가야 하는 오래된, 우리 인류의 습성에서 비롯됐으니까.
하지만, 동시에 우리가 보다 나은 사람으로 발전해 나가려면 이런 낡은 생존 전략에서 벗어날 수 있는 힘도 길러야 하지 않을까 한다. 딴은, 한 사람의 위대함은 진실과 마주함을 두려워하지 않고 떳떳하게 진실을 외칠 수 있는 용기에서 나온다고 역사는 가르치고 있으니까.
마침, 폭력으로 얼룩진 우리 인간사의 아픈 과거들을 회피하지 않고 그 속으로 침잠해 들어가서 희생자들의 아픔을 공감하고 그 아픔을 시적 산문으로 “진실되게" 표현하고 공유하려고 했던 한 강 작가의 작품들이 최근 노벨상 수상과 함께 다시 조명을 받고 있다. 감수성이 여린 사람이 오히려 인류사적 비극에서 빚어지는 크나큰 고통을 짊어지고 "진실"을 표현해낸 그 강직한 힘에 찬사를 보내지 않을 수 없다. 노벨상 위원회는 바로 이점을 수상의 이유로 직시한 것 같다.
이 연약하면서도 강직한 여성 작가가 한국의 문화 위상을 한 단계 높였듯이, 우리 인류도 생존에 매달리는 연약한 존재이지만, 동시에 용기와 강직함으로 진실을 향해 나아 갈 수 있는 한 단계 높은 존재로 부상하기를 꿈꿔 본다.
그 부상을 위해 오늘 그녀의 <작별하지 않는다>의 한 페이지를 넘긴다.
-
감상문: 한강 소설, 작별하지 않는다
한강의 소설, 작별하지 않는다를 설렘으로 읽었다. 그 소설을 읽을 때 인상적인 것은 연민으로 사람을 대하는 작가의 섬세한 태도와 그것을 담아내려는 문학적 표현방식이다. 작가의 태도는 화자로 등장하는 경하라는 인물을 통해서 드러나는데, 소설을 읽는 ... -
<칼럼 43> '알프스 소녀 하이디'를 만나다
<주의> 이 칼럼은 산행과 무관한 내용으로써 한 개인의 생각을 공유하기 위해 제공하는 글입니다. 이 점을 주지하셔서 주제에 관심이 없는 분들은 부담없이 패스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칼럼 43> '알프스 소녀 하이디'를 만나다 초등학교 5학년으로 기억한... -
<칼럼 42> 크루시블 - 마녀 재판과 추론의 사다리
<주의> 이 칼럼은 산행과 무관한 내용으로써 한 개인의 생각을 공유하기 위해 제공하는 글입니다. 이 점을 주지하셔서 주제에 관심이 없는 분들은 부담없이 패스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칼럼 42> The Crucible (도가니) - 마녀 재판과 추론의 사다리 서부... -
<칼럼 41> 한강은 되고, 왜 하루키는 안 됐을까?
<주의> 이 칼럼은 산행과 무관한 내용으로써 한 개인의 생각을 공유하기 위해 제공하는 글입니다. 이 점을 주지하셔서 주제에 관심이 없는 분들은 부담없이 패스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칼럼 41> 한강은 되고, 왜 하루키는 안 됐을까? 한강 작가의 노벨 문... -
<칼럼 40> 한강의 작품과 기억에 대한 소고(小考)
<칼럼 40> 한강의 작품과 기억에 대한 소고(小考) 최근에 있었던 “한강”의 노벨 문학상 수여 의미를 생각해 보았다. 여린 감수성의 소유자임에도 폭력에 대해서 온 몸으로 아파하면서 거부하고 저항했던 그녀. <소년이 온다>, <작별하지 않는다>에서 광주 5.18... -
설악산 암릉 이야기 3편 설악산 리지의 개척 등반사 (퍼옴)
설악산 리지의 개척 등반사 (울산암, 천화대, 용아장성, 공룡능선을 설악산은 천태만상의 얼굴을 하고 수많은 등산객들을 맞이하는 천혜의 도장이다. 장대한 능선과 깊은 계곡, 사시사철 변화무쌍함을 보여주는 기암절벽은 많은 등산객들을 유혹한다. 산을 좋... -
No Image
설악산 암릉 이야기 2편 석주길
하늘에서 꽃이 내려와 앉았다는 천화대(天花臺)는 설악에서 가장 아름다운 암릉길이고 그곳에는 '흑범길', '염라길', '석주길' 등 멋진 암릉길이 많지만 그중에서도 '석주길'은 아름다움 보다는 그곳에 얽힌 설화 같은 이야기로 더 유명하다. 그 슬픈 이야기는... -
No Image
고국의 산 설악산 암릉 이야기 1편 천화대
여기 모두 산이 좋아서 모인 분들이라 다른 이야기보다 산에 관련된 이야기를 함 풀어 보겠습니다 물론 퍼 왔고요 제가 한국에 있을때 제일 좋아한 산 설악 입니다 지금은 자주 못가지만 항상 그리운 설악 입니다 설악산은 천태만상의 얼굴을 하고 수많은 등산... -
뜬금없이 시작하는 맹자이야기
네~~~~ 뜬금이 없지만, 뭐, 여기는 자유로이 글을 쓰는 공간이니깐 시작해보려 합니다. 제가 산악회를 위해 할 수 있는게 뭘까 생각하다가 "맹자"라는 책을 장기간에 걸쳐 주 1회 올려보는 건 어떨까 생각했습니다. 아마도 4,5 년 정도는 걸릴꺼 같습니다. 어... -
비틀즈와 의식의 흐름
지난 주말 사라토가에 있는 mountain winery에서 비틀즈 콘서트를 관람하였습니다. 물론 진짜 비틀즈가 아닌 비틀즈의 cover band 중 실력이 좋다는 Fab Four의 공연이었습니다. 외모와 목소리도 비틀즈와 흡사할 뿐 아니라, 2 시간 가까이 라이브 공연을 지침... -
No Image
사카모토 류이치: ARS LONGA VITA BREVIS
얼마전 우연히 사카모토 류이치가 죽었다는 소식을 뒤늦게 알았습니다. 아카데미 음악상을 수상한 영화 음악가로 영화 음악 외에도 80년대 Japanese electronic music으로도 세계적으로 활동했었죠. 사카모토가 영화음악가로 활동하게 된 것은 영화 "감각의 제... -
음악과 잡생각
Gustav Mahler의 5번 교향곡 Adagietto가 잡생각의 시작이었습니다. 비는 오고 복잡한 머리를 식히고자 조용한 이 곡에 파묻혀 있었습니다. 이 곡은 Morte a Venezia라는 영화에 삽입되며 널리 알려졌습니다. Death In Venice • Mahler Symphony No 5 Adagiett... -
<창칼 21> “하하하하하” 사태와 다양성과 포용
<창칼 21> “하하하하하” 사태와 다양성과 포용 (하마스, 하버드, 하원, 하차, 하소연) 하마스와 이스라엘 전쟁이 한창인 가운데 대학가에 반유대인 시위가 번지자, 최근에 미국 명문대 총장들이 줄줄이 미의회 청문회에 불려나와 곤혹스런 심문과 추궁을 당하... -
No Image
만남 중창단 정기 공연
베이 산악회가 시발점이 되었던 만남 중창단의 정기 공연에 산우님들을 초대합니다. 5월 정기 산행 끝나신 후 오신다면 반가운 얼굴들도 보시게 될 겁니다. 감사합니다. https://baynewslab.com/%eb%a7%8c%eb%82%a8%ec%a4%91%ec%b0%bd%eb%8b%a8-%eb%b4%84-%ec%... -
No Image
수락산 곰순이
큰화면 https://youtu.be/N6yiHHXiiYc -
뮤지컬 렌트(RENT) 보신 분 계신가요?
1999년이었던가 2000년이었던가 렌트는 제 생애 첫 브로드웨이 뮤지컬이었어요. 뮤지컬을 보고 너무 좋아서 극장에서 나오면서 거기 나온 노래 시디를 구입했더랬죠. 남편과 장거리 운전할 때 시디를 한 번씩 꺼내서 차에서 듣고 하던 기억이 아련하네요. 주말... -
No Image
산악인 고미영과 Anseilen
지나간 한국 산악인들의 산속에 남겨둔 많은 이야기들 입니다 보신분 들도 계시지만 여운 남는 영상이라 나누어 봅니다 Anseilen 단어는 영상 어딘가에 의미가 나오는데 한참 가슴에 남네요... 편안한 한주 되시길 바랍니다 -
드라마 파찡코, 이민진 작가 그리고 한국인
요즘 한창 달아오르고 있는 "파칭코”라는 드라마 때문에 행복하고도 괴로운 분들이 계실 겁니다. 우리의 과거의 이야기를 세밀하고도 현실감 있게 다룬 미국 드라마를 보는 쏠쏠한 재미가 그 행복일 것이고 지금 7회까지 나온 드라마가 한 주에 하나씩 나오는 ... -
Frank Webb
지난 주부터 주식시장도 폭락하고, 아침에도 또 폭락하고, 영 재미없는 한 주가 시작되어서 일이고 뭐고 다 때려치고 멍 때리다가 이래서는 안되겠다 글이라도 한바닥 쓰자...... 해서 한바닥 씁니다. 본론에 들어가기에 앞서 우선, 아리랑님과 가을님께 감사... -
No Image
산행 후 가볼만한 맛집 소개 - Danville/Pleasanton/Livermore
생각나는대로 올리겠습니다. 1. Las Trampas / Mt. Diablo산행 후 갈만한 뒷풀이 장소 --- Danville Brewing Company : Danville 지역의 수제 맥주집. https://goo.gl/maps/i1dHBy24ZvKxXGf87 --- Locanda Ravello : 이태리 음식점 https://g.page/ravellodan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