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년 산행은 왜 설레는가
내 별명은 "밥"이었다.
나는 일부 중산층과 대다수 서민이 사는 서울 변두리에 있는 고등학교를 다녔다.
그래서인지 그렇게 잘 나가지도, 그렇게 막 나가지도 않는 친구들을 만나게 되었다.
다들 새로 고등학교에 입학해 서먹한 1학년 때였다.
유달리 시끄러운 친구 셋이 있었다.
중학교 때부터 친했다고 하는데 서로 부르는 별명이 가관이었다.
- "막". 이 친구가 이 그룹에 대표격이었는데 얼굴이 막 생겼다고 해 얻은 별명이었다. 워낙 유명한 별명이라 선생님들도 이름은 모르고 별명으로 이 친구를 부르곤 했다.
- "ㄷ덕". 얼굴이 넓대대한 떡판이라 붙여진 별명이다. 이것이 콤플렉스였는지 항상 머리를 무스로 빳빳하게 세우고 다녔다. 당시 두발자율화라고 하지만, 허용이 안되는 헤어스타일이었다. 그런데도 이 녀석은 선도부 선생님께 자신의 외모 콤플렉스를 끊임없이 하소연하였고, 결국 그 머리를 하고 다니는 것을 허락 받았다.
- "뚱". 이 녀석은 키가 180cm가 넘고, 체중은 비밀이나 100kg을 넘는다는 것이 정설이었다. 어떻게 다른 별명이 가능하겠는가?
- "똥". 별명의 사연은 그들 사이의 비밀이다. 본인은 이 별명을 매우 싫어하였으나 다음 등장하는 친구로 인해 그냥 받아 들이게 되었다.
- "변". "막", "ㄷ덕," "뚱," "똥"은 중학교부터 이미 알던 사이인데 "변"은 다른 학교 출신이다. 그러나 이들은 서로가 같은 부류임을 알아 보고, 곧 어울리게 되었다. 이 녀석은 성이 "변"가이다. 생긴 것은 사실 말끔한데, 하는 짓이 좀 변태스럽다고 하여 자연스럽게 "변"이 되었다. 이 친구는 자신의 별명으로 "변"을 자랑스럽게 받아들였다. "변"의 당당한 자세는 "똥"에게도 영향을 미쳐, "똥"도 본인의 별명을 운명으로 받아들이게끔 하였다.
- "밥". 본인이다. 지금도 잘 먹지만 고등학교 때는 정말 많이 먹었다. 배고플 때는 라면 4개와 밥 두 그릇 정도는 말아 먹고 다니던 시절이었다. 고기 사준다고 맘껏 먹으라는 아버지 친구 분 말씀에 갈비 5인분과 냉면 한 사발을 먹어 치워 아버지를 난감하게 만든 적도 있다.
고등학교 때는 점심 저녁 도시락 2개를 싸 들고 다녔다. 도시락이 꽤 컸는데, 어머니가 어디서 구하셨는지 보통 도시락의 4배 크기는 되는 것이었다. 당시 점심 도시락은 2 교시 이후, 저녁 도시락은 점심 시간 때 먹는 것이 선생님들과의 신사 협정이었다. 저녁은 학교 매점에서 사먹었다. 그런데 2교시까지 배고파 기다리지 못하는 친구들이 많아졌고 나를 포함한 많은 친구들이 1교시 이후에 도시락을 까먹기 시작하였다. 어느 날 2교시에 들어 온 깐깐한 선생님이 음식 냄새에 도시락 먹은 놈들이 누구인지 손을 들어 보라고 하였다. 꽤 많은 친구들이 손을 들고 나도 손을 같이 들었다. 선생님이 이 반은 반장이라는 놈도 "밥"을 못 참는다고 훈계를 하셨다. 당시 나는 부끄럽지만 반장 노릇을 하고 있었다.
이 때 이후 친구들은 나를 "밥반장"이라고 불렀다. 친하게 놀 때는 줄여서 "밥"으로, 선생님의 끄나풀로 아니꼽게 보일 때는 "밥반장"으로 불렀다. 처음에는 그 별명이 마음에 안 들었으나, "똥"처럼 결국 나도 나의 운명을 받아 들였다.
"막", "ㄷ덕", "뚱", "똥", "변"은 모범생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문제아는 아니었다. 나는 모범생처럼 보였지만 실제는 약간 노는 물이 들은 놈이었다. 별명 때문인지 성향 때문인지 우리는 잘 어울리며 지내게 되었다.
이외에도 항상 시끄러운 "박" 씨 성을 가진 세 녀석과 약간 양아치 같지만 밉지 않은 "고" 씨 성을 가진 두 녀석이 있었다. 이 놈들이 소소한 사고를 자주 일으켰는데 어느 날 담임 선생님이 이렇게 한탄을 하셨다.
"우리 반은 "막", "ㄷ덕", "뚱", "똥", "변"도 시끄러운데 쓰리 "박"에 투 "고"도 만만치 않으니… 반장이라는 놈도 그렇고". 과연 고스톱에 일가견이 있다고 들은 담임 선생님다운 일갈이었다.
30대 중반까지만 해도 고등학교 때와 크게 다르지 않은 식사량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점차 나이와 같이 그 양이 줄어 들어 지금은 그 때보다 1/3정도만 먹는 것 같다. 특히 저탄고지로 살을 빼다 보니 예전 "밥"이라는 별명은 이제 아득한 옛이야기가 되었다.
참조: A blessing in disguise in Portland, Oregon https://www.bayalpineclub.net/member_story/870723
신년에 떡국 산행을 한다.
그때 "밥"처럼 먹을 수 있을까?
"막", "ㄷ덕", "뚱", "똥", "변", 그리고 쓰리 "박" 투 "고"와 미군 담요 위에서 고스톱 한 판 치고 싶은 날이다.
-
?
너무 재미 있네요. 우리 시대의 까까머이 검은색 교복의 남학생들의 학교 생활을 눈앞에서 보는듯 맛깔 스럽습니다.
-
Why see님의 글은 감칠맛이 뿜뿜입니다..... 이대로 쭈~~~욱 부탁헙니다. 오늘 fifry fifty 를 알게되어 떡국먹고 한 살 젊어진 느낌입니다.
-
?
YC 님은 글을 참 재밌게 쓰시네요. 그때 도시락 까먹던 시절을 생각나게 하네요...ㅎ.
-
고교시절 추억을 떠올려 볼수 있는 글이네요. 재미있게 잘 읽었습니다
전 영도 육봉알이라 불리던 놈의 도시락 밥 밑쪽에 숨긴 계란 후라이를 주로 색출해 뺏어먹었던 기억이.
-
재미있게 봐 주셔서 감사합니다.
19세기 교실에서 20세기 학생 시절을 썰을 풀다 보니 21세기에 살고 있는 현실을 미국 대통령 취임식으로 불현듯 깨달았습니다.
21세기는 미국령 그린란드 항로를 지나 대서양 아메리카 만에서 미국령 파나마 운하로 향하는 유람선에서 미국령 화성으로 향하는 머스크의 로켓을 보는 세상이 현실이 될지 망상이될지 모를 시절인 것 같습니다.
-
신년 산행은 왜 설레는가 6
-
서부여행 지도 만들었습니다. 3
-
OPUS-I & II 5
-
오늘은 슬프지만 그래도 희망의 내일을 꿈꿔 봅니다 14
-
<창칼 38> 내 안의 야만성을 찾아서 4
-
소주 마시고 가출해 여행을 해야하는 이유. 10
-
<창칼 36> 참을 수 없는 존재의 얄팍함 9
-
단오와 히레사케 7
-
<창칼 33> 어쩌면 악한 사람은 아주 가까이에 있... 5
-
개기 일식과 달 3
-
<창칼 30> 30회 특집 인터뷰 7
-
<창칼 27> 제 눈에 안경과 정신 승리 3
-
<창칼 23> 물 흐르듯 거침없이 9
-
<창칼 22> 로드와 여섯 친구들과의 만남 31
-
<창칼 20> 발바닥 사랑과 별과 팔레스타인 8
-
<창칼 19> 짜라퉁은 이제 짐 싸고 물러가라! 5
-
<창칼 16> 별(別)얘기 아닌 별 이야기 14
-
(가상현실) 분쟁조정 위원회 회의 6
-
<창칼 15> 길들여지길 거부하고 거친 야성으로 ... 7
-
Bay 12景 6
혹시 YC님의 영문 이름은 Bob? 갑자기 곱슬 머리 밥 아저씨가 떠오르네요 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