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오랜만에 한국 방문을 하는 날입니다. 약 2주 간은 자리를 비우게 되니 안그래도 요즘 이래저래 글 올리는게 뜸해서 이건 꼭하고 가리라 마음먹고 올립니다. 맹자가 고서이다보니 원문 해석본조차 이해가 어렵다는 민원이 들어와서 원문을 올리되 쉽게 이해하실 수 있도록 중간 해석본을 간략하게 처리하겠습니다. 이번 문단에서는 유명한 명구 "인자무적"이 등장하게 되니 관심있게 보아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梁惠王曰: “晉國, 天下莫强焉, 叟之所知也.(진국천하막강언 수지소지야) 及寡人之身, 東敗於齊, 長子死焉;(급과인지신 동패어제 장자사언) 西喪地於秦七百里;(서상지어진칠백리) 南辱於楚.(남욕어초) 寡人恥之, 願比死者一洒之, 如之何則可?”(과인치지 원비사자일세지 여지하즉가)
양혜왕이 말하길(梁惠王曰): “진나라가(晉國), 천하에서(天下) 막강하다는 것은(莫强焉), 선생이(叟之) 아시는 바입니다(所知也). 과인의 몸에 이르러(及寡人之身), 동쪽에서(東) 제나라한테 깨지면서(敗於齊), 큰아들이 죽었고(長子死焉); 서쪽에서는(西) 진나라에게(於秦) 땅 700리를 빼앗겼고(喪地七百里); 남쪽에서는(南) 초나라에 모욕을 당했습니다(辱於楚). 과인이(寡人) 이것을 치욕스럽게 여겨(恥之), 원컨대(願) 죽은 사람을 위해(比死者) 한 번(一) <치욕을> 씻어주려고 하는데(洒之), 어찌하면(如之何則) 가능할까요(可)?”
첫 문장은 비교적 해석이 쉽습니다. 의역할 필요없이 직역 그대로 이해하면 되겠습니다. 혜왕 재위 연간에 인접제후국으로부터 여러 차례 침공을 당했는데 그 중에 태자 신(申)의 죽음으로 인한 치욕을 씻어주고 싶다는 아비로서의 희망을 표현하였습니다.
- 주자 해석원본
○ 魏本晉大夫魏斯, 與韓氏趙氏共分晉地, 號曰三晉. 故惠王猶自謂晉國. 惠王三十年, 齊擊魏, 破其軍, 虜太子申. 十七年, 秦取魏少梁, 後魏又數獻地於秦. 又與楚將昭陽戰敗, 亡其七邑. 比, 猶爲也. 言欲爲死者雪其恥也.
孟子對曰: “地方百里而可以王.(지방백리이가이와) 王如施仁政於民, 省刑罰, 薄稅斂, 深耕易耨,(왕여시인정어민 생형벌 박세렴 심경이누)
壯者以暇日修其孝悌忠信, 入以事其父兄, 出以事其長上, 可使制梃以撻秦楚之堅甲利兵矣.(장자이가일수기효제충신 입이사기부형 출이사기장상 가사제정이달진초지견갑이병의
孟子對曰: “땅이(地) 사방(方) 100리만 되어도(百里而) 왕 노릇 할 수 있습니다(可以王). 만약 왕께서 생형벌과 부세렴(省刑罰, 薄稅斂)과 같은 인정의 큰 조목들을 베푸신다면 장성한 사람이(壯者) 한가한 날을 이용해서(以暇日) 그 효제충신을 닦고(修其孝悌忠信), 집안에 들어가서는(入以) 그 부형을 모시고(事其父兄), 나가서는(出以) 그 윗사람을 모시면(事其長上), 만약(可使) 몽둥이를 만들어(制梃以) 초나라와 진나라의 견고한 갑옷과(秦楚之堅甲) 날카로운 병기에(利兵) 달려들 수 있습니다(撻矣).
작은 나라일찌라도 위정자가 어진 정치를 펼친다면, 젊은이들이 열심으로 밭을 갈고, 효제충신을 실천하여 윗사람을 모시는 등 살만한 나라를 이루게 되고, 이런 나라에서는 외세와 감히 겨룰 수 있는 힘이 생긴다는 것입니다. 결국 위정자의 정치에 따라 나라의 부강여부가 결정된다는 것이 맹자의 견해입니다.
彼奪其民時, 使不得耕耨以養其父母, 父母凍餓, 兄弟妻子離散.(피탈기민시 사득경누이양기부모 부모동아 형제처자이산) 彼陷溺其民, 王往而征之, 夫誰與王敵?(피함익기민 왕왕이정지 부수여왕적) 故曰: ‘仁者無敵.’ 王請勿疑!”(인자무적 왕청물의)
저들로 하여금(彼) 백성의 시기를 빼앗아서(奪其民時), 밭갈고 김 매서(耕耨以) 부모를 봉양하지 못하도록 하면(使不得養其父母), 부모는(父母) 얼어 죽고 굶어 죽으며(凍餓), 형제와 처자가(兄弟妻子) 헤어져 흩어집니다(離散). 저들이(彼) 그 백성을(其民) 함정에 빠뜨렸을 때(陷溺), 왕께서 가서(王往而) 정벌한다면(征之), 누가(夫誰) 왕과 대적하겠습니까(與王敵)? 그러므로 말하길(故曰): ‘인자한 사람에게는(仁者) 적이 없다(無敵).’라고 했습니다. 왕께서는(王) 청컨대(請) 의심하지 마시기 바랍니다(勿疑)!”
* 나라의 부국강병의 근원은 위정자가 백성을 구하는 어진 정치라는 것이 맹자의 본뜻이라고 성현들은 이해한 바 있습니다. 양나라 혜왕이 원한을 갚는 것으로 뜻을 세웠을때 맹자는 해야할 일의 우선 순위를 어진 정치라고 충언을 올렸습니다. 어진 정치로써 나라를 올바르게 세운 연후에 원한을 갚아도 된다는 것이 성공 방정식이라는 혜안입니다.
-
No Image
맹자 이야기 11
오늘은 오랜만에 한국 방문을 하는 날입니다. 약 2주 간은 자리를 비우게 되니 안그래도 요즘 이래저래 글 올리는게 뜸해서 이건 꼭하고 가리라 마음먹고 올립니다. 맹자가 고서이다보니 원문 해석본조차 이해가 어렵다는 민원이 들어와서 원문을 올리되 쉽게 ... -
No Image
신년 산행은 왜 설레는가
내 별명은 "밥"이었다. 나는 일부 중산층과 대다수 서민이 사는 서울 변두리에 있는 고등학교를 다녔다. 그래서인지 그렇게 잘 나가지도, 그렇게 막 나가지도 않는 친구들을 만나게 되었다. 다들 새로 고등학교에 입학해 서먹한 1학년 때였다. 유달리 시끄러운... -
No Image
맹자이야기 10
梁惠王曰: “寡人願安承敎.”(양혜왕왈 과인원안승교) 양혜왕이 말하길(梁惠王曰): “과인이(寡人) 원컨대(願) 편안히(安) 가르침 받기를 바랍니다(承敎)." * 왕의 이상정치 실현은 인구증가로 이룰 수 있다고하자, 맹자에게 그 구체적 방안을 묻고 있습니다. 孟... -
No Image
맹자 이야기 9
어느새 2024년도 마지막날입니다. 뜻하지 않은 큰 사고로 인하여 연말 분위기가 많이 무겁습니다. 저도 삼가 조의를 표합니다. 오늘은 아홉번째 글로서 이민이속장(移民移粟章)이라는 별명을 가진 문단의 마지막 부분입니다. 七十者衣帛食肉, 黎民不飢不寒, 然... -
서부여행 지도 만들었습니다.
그림쟁이 딸내미의 주리를 틀어서 서부여행 지도 하나 만들었습니다. 허접하지만 필요하신 분들은 퍼가세요 ~~~. -
No Image
맹자이야기 8
不違農時, 穀不可勝食也;(불위농시 곡불가승식야) 數罟不入洿池, 魚鼈不可勝食也;(촉고불입오지 어별불가승식야) 斧斤以時入山林, 材木不可勝用也.(부근이시입산림 임목불가승용야) 穀與魚鼈不可勝食, 材木不可勝用, 是使民養生喪死無憾也.(곡여어별불가승식 ... -
No Image
맹자 이야기 7
孟子對曰: “王好戰, 請以戰喩. 塡然鼓之, 兵刃旣接, 棄甲曳兵而走.(왕호전 청이전유 전연고지 병인기접 기갑예병이주) 或百步而後止, 或五十步而後止, 以五十步笑百步, 則何如?”(혹백보이후지 혹오십보이후지 이오십보소백보 즉하여) 맹자가 대답하여 말하길(... -
OPUS-I & II
흔한 내 사무실 풍경이다. Whiteboard를 종횡부진 누비며 머리 속에 생각을 끄적이다 보면 실마리가 잡힐 때가 있다. 이 날은 새로 구한 marker도 시험해 볼 겸 총 천연색으로 휘갈기고 있었다. 그런데 다른 때와 달리 실마리는 잡히지 않고 점점 엉키고 있었... -
감상문: 한강 소설, 작별하지 않는다
한강의 소설, 작별하지 않는다를 설렘으로 읽었다. 그 소설을 읽을 때 인상적인 것은 연민으로 사람을 대하는 작가의 섬세한 태도와 그것을 담아내려는 문학적 표현방식이다. 작가의 태도는 화자로 등장하는 경하라는 인물을 통해서 드러나는데, 소설을 읽는 ... -
<칼럼 43> '알프스 소녀 하이디'를 만나다
<주의> 이 칼럼은 산행과 무관한 내용으로써 한 개인의 생각을 공유하기 위해 제공하는 글입니다. 이 점을 주지하셔서 주제에 관심이 없는 분들은 부담없이 패스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칼럼 43> '알프스 소녀 하이디'를 만나다 초등학교 5학년으로 기억한... -
<칼럼 42> 크루시블 - 마녀 재판과 추론의 사다리
<주의> 이 칼럼은 산행과 무관한 내용으로써 한 개인의 생각을 공유하기 위해 제공하는 글입니다. 이 점을 주지하셔서 주제에 관심이 없는 분들은 부담없이 패스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칼럼 42> The Crucible (도가니) - 마녀 재판과 추론의 사다리 서부... -
No Image
맹자이야기 6
梁惠王曰: “寡人之於國也, 盡心焉耳矣.(과인지어국야 진심언이의) 河內凶, 則移其民於河東, 移其粟於河內.(하내흉 즉사민이어하동 사기속어하내) 河東凶亦然. 察鄰國之政, 無如寡人之用心者.(하도흉역연 찰인국지정 무여과인지용심자) 양혜왕이 말하길(梁惠王... -
<칼럼 41> 한강은 되고, 왜 하루키는 안 됐을까?
<주의> 이 칼럼은 산행과 무관한 내용으로써 한 개인의 생각을 공유하기 위해 제공하는 글입니다. 이 점을 주지하셔서 주제에 관심이 없는 분들은 부담없이 패스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칼럼 41> 한강은 되고, 왜 하루키는 안 됐을까? 한강 작가의 노벨 문... -
No Image
맹자 이야기 5
이제부터는 제목을 맹자 이야기로 변경해서 올립니다. 내용이 어렵다는 민원이 들어와서 좀더 현대적인 표현으로 해석하고, 주희의 해석 부분은 필요하지 않으면 생략해서 내용을 간단하게 작성하겠습니다. 생각보다 많은 분들이 관심주셔서 감읍할 따름입니다... -
A blessing in disguise in Portland, Oregon
어쩌다 보니 살이 빠졌습니다. 직장과 주변에서 이런 저를 보고 어찌 살을 뺐는지 물어 보았습니다. 반복되는 질문에 답하다 좀 귀찮아져 그동안 있었던 일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시작은 몸무게를 잴 이 저울을 구입하면서 입니다. https://a.co/d/0MjSNx0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