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칼 4> 몰입 과학과 평범한 슈퍼휴먼 (통달- PART II)

- ?
-
잘못 들으면 정말 전문 분야인 줄 알겠어요. ^^ 그냥 삶의 실체와 관련 이런 저런 주제에 호기심이 좀 넘치는 인간종자에 불과한 걸요..
하지만 짧지 않는 인생을 살아보니 몰입만이 행복이라는 것에는 전적으로 동의할 수 밖에 없을 것 같고요, 최근에 Happiness is anti-fragile이라는 개념을 배우고는 여기에도 팩퍼 공감 중이랍니다. 장애물과 역경을 뛰어 넘는 과정에서만이 진정한 행복이 온다. 이 때도 몰입이 없이는 안 되겠죠?
-
읽거나 참고한 자료 몇개 첨부합니다.
책과 논문:
Kottler, Steven. The Science of Peak Human Performance. Apr. 30. 2014. TIME. Opinion Section (링크).
Csikszentmihalyi, Mihayl. 1990. Flow: The psychology of optimal experience. New York: Harper & Row
James, William. 1902. The Varieties Of Religious Experience: A Study In Human Nature. Longmans, Green, and Co.
Kotler, Steven. 2014. The Rise of Superman: Decoding the Science of Ultimate Human Performance. Boston: New Harvest
Maslow, Abraham. 1964. Religions, Values, and Peak Experiences, Columbus, Ohio: Ohio State University Press.
Whalen, Samuel. 1997. Assessing flow experiences in highly able adolescent learners.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in Chicago, IL.
YouTube 영상:
1. 황농문 교수: 몰입, 최고의 나를 만나다 https://youtu.be/zyba8_B2f1I
2. Steven Kotler: Decoding of the Science of Ultimate Human Performance (Talks at Google) https://youtu.be/y1MHyyWsMeE
3. Steven Kotler: How to Enter Flow State on Command https://youtu.be/znwUCNrjpD4
-
?
대단하십니다. 이 많은 정보를 쉽게 정리해놓으시고. 학생들과 한 시간 수업하는데 10분처럼 느껴지며 재밌게 지나가는 경우는 몰입이겠군요. 그런데 어떤 의무적인 훈련을 받아야하는 상황에서는 30분이 3시간처럼 느껴지는 경우는 몰입의 경지에 가지 못한거군요. 몰입의 조건에 맞지 않으니까...
-
좋은 글 나눠주셔서 감사해요. 길다고 경고를 처음에 넣으셔서 긴장했는데 술술 읽었어요. 혹시 ADHD 약이 뇌의 그 부분을 자극해 몰입을 도와주는 건가요?
-
제가 찾아 보니, ADHD 약이 두 가지 호르몬, 다시 말해 신경전달 물질인 도파민과 노레피네프린의 농도를 높여서 집중력과 주의력을 고양시킨다는 점에서는 FLOW에서 나타나는 증상과 비슷한 것 같네요. 하지만, ADHD 약이 다른 세 호르몬의 조절에는 관여하지 않으니 몰입 상태와 똑같은 조건을 만들어 주는 건 아니라고 봐야겠네요. 파피님, 질문 덕분에 저도 이 부분은 새로 알게 됐습니다.
-
?
요즘 올리신 세편의 논문(?) 신중하게 읽었습니다. 글만 봐도 창공님이 몰입 경지인 게 보이는 듯 합니다 . 위험-기술-통제 등의 훈련을 통해 몰입에 이를 수 있겠지만 그 뒤의 당연하다 하신 집중, 자아상실, 열정에 저는 더 관심이 있습니다.. 우리가 험한 산 길을 걸을 때 뭔가 대단한 게 있을 것 같지만 실은 아무 생각 안할 때가 더 많고, 심지어 텐트 치고 저녁으로 라면을 먹을까, 쌀국수를 먹을까에 마음을 쏟는 것도 일종의 몰입이겠죠.ㅎ 매일 삶에서 몰입의 경지로 사는건 어렵고 자기가 좋아하는 것에 열정을 가지고 주어진 시간에 최선을 다 하는 정도로 몰입을 이해하고 창공님의 몰입, 리스펙트입니다~
-
글을 읽으시는 분들이 왜 이 분야의 연구를 개척한 칙센미하이 교수가 FLOW라는 용어를 썼을까 궁금해 하실텐데, 실은 이 분이 연구 과정에서 각종의 분야(특히, 게임이나 스포츠 등의 분야)에서 혁혁한 성취를 이룬 사람들을 만나 인터뷰할 때, 그들의 입에서 공통적으로 등장한 단어가 물흐르듯이 흐른다는 'feel flowy'라는 표현이었다고 하네요. 그래서 FLOW라는 용어를 쓰게 됐다는 건데, 한국어로 이를 번역할 때, 한국어에는 이미 삼매라든지 몰아지경이라는 표현들이 있지만, 이들은 학문적 용어로 걸맞지 않은 것 같아 궁여지책으로 '몰입'이라는 단어를 선택한 것 같습니다. 이 단어 선택이 전혀 잘못된 건 아니지만, 웬지 뭔가 부족하다는 느낌은 지워버릴 수 없네요. 저는 불교에서 쓰는 그러그러하다는 뜻의 "여여"라는 단어를 생각해 봤는데, 더 좋은 단어 선택이 없을까요?
-
?
역시 기대해 볼 만 했습니다. 대저 몰입의 경지가 아니고서는 이만한 글을 쓰기가 쉽지 않겠습니다.
몰입,concentration이라는 단어를 떠올렸었는데 그보다 보다 차원높고 포괄적인 개념이군요.
몰입이란 " 인간의 의식이 최고로 고양된 상태, 또 이런 상태에서 인간 능력의 최고, 최적의 performance 가 이루어지는 상태" 라구요.
좋은 글 올려주신 창공님, 감사합니다.
-
좋은 논문입니다. 우리가 산행하면서하는 불멍때리기, 물멍때리기, 별멍때리기, 낚멍때리기도 이 FLOW 범주에 들어가겠지요.
-
잡다한 내용을 끄적거려 본 잡문에 불과한 것이거늘 어울리지 않게 논문이라뇨. ^^ 압니다. 농담으로 그렇게 쓰신 것을. 멍때리기도 제대로 하면 그야말로 몰입의 경지가 아닐까요? 단, 거기에 "나"가 잊혀지고 시간의 흐름이 멈추면서 에너지가 충전되는 느낌이라면 제대로 한 거겠죠? 조만간에 펼쳐진 대장정의 길에 많은 몰입을 통한 충전이 있으시길 소망해 드려요.
-
대장정 기간동안 몰입해서 "나"가 잊혀지고 시간의 흐름이 멈추면서 에너지가 충전되는 느낌을 갖도록 의도적으로 명상을 하고 오겠습니다. 좋은 정보 감사하고요. 앞으로 더 많은 연구를 통해 이분야의 전문가가 되시길 기원합니다.
-
<창칼 36> 참을 수 없는 존재의 얄팍함
<창칼 36> 참을 수 없는 존재의 얄팍함 그리고 무게감 남자는 가벼운 연애를 좋아해서 한 여자말고도 또 다른 여자와도 만나 연애를 즐기고, 그를 좋아하는 여자는 그 남자만 바라보며 지고지순한 사랑을 펼친다. 또 다른 남자는 한 여자에 대한 순수한 이상적... -
No Image
사카모토 류이치: ARS LONGA VITA BREVIS
얼마전 우연히 사카모토 류이치가 죽었다는 소식을 뒤늦게 알았습니다. 아카데미 음악상을 수상한 영화 음악가로 영화 음악 외에도 80년대 Japanese electronic music으로도 세계적으로 활동했었죠. 사카모토가 영화음악가로 활동하게 된 것은 영화 "감각의 제... -
단오와 히레사케
목표는 북악산 팔각정이었다. 화창한 주말 봄 날씨에 어두운 집에서 뒹굴 수는 없었다. 아침 일찍 자전거를 끌고 나왔다. 선글라스와 선크림으로 얼굴을, UV 차단 토시로 노출된 팔을 완벽하게 가렸다. 물안개가 피어오른 양재천에서 새소리를 들으며 속도를 ... -
<창칼 35> 멈추고 가만히 바라보면 보이는 것들
<창칼 35> 멈추고 가만히 바라보면 보이는 것들 (1부) 명상이라는 단어가 일상적으로 입에 오르내리는 시대가 되었다. 이런 명상의 인기는 스트레스와 불안이 넘치는 현대 생활의 반영이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명상의 대중화에 비해서 과연 명상이 무엇인지,... -
<창칼 34> 근테크를 얼마나 하시나요?
<창칼 34> 평소에 근테크를 얼마나 하시나요? 노화를 늦추는 방법에 요즘처럼 관심이 많았던 적이 있었나 싶다. 그만큼 방송, 신문, 유툽, 출판물 등에서 노화 예방에 대한 정보들이 넘쳐난다. 모든 게 과하면 독이라고 이럴 때일 수록 가장 중요한 정보에 집... -
<창칼 33> 어쩌면 악한 사람은 아주 가까이에 있을지 모른다
<창칼 33> 어쩌면 악한 사람은 아주 가까이에 있을지 모른다 (부제: ‘악’에 대한 두 개의 시선) 살아가다 보면 평범하고 정상적으로 보이는 사람한테서 예기치 않게 가혹한 화를 당하는 경우가 있다. 그게 배신이든 억울한 누명이든. 이와는 좀 다르지만, 주어... -
첫번째 요리 이야기
첫번째 요리 이야기 지난번 저희들 홈페이지에서 백호님과 올가닉님이 후기에서 Point Reye 지역과 Bodega Bay 지역에서의 미루가이 조개 채취에 대해 언급하신걸 본적이 있습니다. 제가 좋아하는 식재료이고 해산물 요리는 저의 전공분야라 흥미가 발동해 요... -
<창칼 32> 불평등을 사랑하는 나라 (2부)
<창칼 32> 불평등을 사랑하는 나라 (2부) 때는 2020년 9월, 독일의 40여개의 도시에서 일제히 정부에 항의하는 성난 시위대들이 거리로 쏟아졌다. 당시 독일 총리가 그리스에 머물던 난민 1만2천명 중에서 천5백명을 받겠다고 선언한 뒤에 벌어진 일이다 (링크... -
<창칼 31> 불평등을 사랑하는 나라 (1부)
<창칼 31회> 불평등을 사랑하는 나라 (1부) 이 세상에서 권력이나 부를 많이 가진 사람들을 빼고, 불평등을 좋아하는 사람들은 거의 없을 것이다. 하지만 국민의 다수가 실제로 불평등을 사랑하는 나라가 있다고 하면 믿을 사람이 얼마나 될까. “세계 가치관 ... -
개기 일식과 달
이번 개기일식을 관측하신 오가닉님 일행을 멀리서 축하하며 예전 달에 대해 잡설을 푼 것을 다음 link에 소개합니다. 달에 대한 단상 이 중에서 개기 일식과 관련된 것은 이 부분입니다. 지구에서 해와 달의 크기는 같아 보입니다. 이는 지구로부터 해까지 거... -
<창칼 30> 30회 특집 인터뷰
<창칼 30> 30회 특집 인터뷰 2023년 상반기 때 시작된 창공칼럼(창칼)이 벌써 30회를 맞았습니다. 30회를 기념하는 의미에서 특별 인터뷰를 진행해 봤습니다. 호기심녀: 지난번 <창칼 18>에 이어 아주 특별한 인터뷰를 제가 다시 맡게 되어 영광입니다. 그간 <... -
<창칼 29> 인간적인 아주 인간적인, 그리고 너무 불완전한
<창칼 29> 인간적인 아주 인간적인 그리고 너무 불완전한 인간은 만물의 영장이다. 가끔은 인간이 다른 동물에 비해서 그렇게 뛰어난지 의심스러울 때도 있기는 하지만 우리는 하여튼 그렇게 믿고 있다. 더불어, 무엇이 인간적인 것인지를 생각해 보게 된다. ... -
<창칼 28> 그게 뭐가 그리 중한디? (인슐린 저항)
<창칼 28> 그게 뭐가 그리 중한디? (부제: 인슐린 저항의 어마무시한 비밀) 건강 정보가 넘쳐나서 혼란스러운 시대를 살고 있는 우리들. 과정보의 역효과로 오히려 무엇이 중요하고 무엇이 덜 중요한지 헥갈리기도 하고, 반작용으로 ‘다 무시하고 편한 대로 살... -
<창칼 27> 제 눈에 안경과 정신 승리
<창공칼럼 27> 제 눈에 안경과 정신 승리 하루 전에 국민 가수 이효리가 국민대 졸업식에서 연설을 해서 많은 이목을 끌었다. 그의 단촐한 연설에서 사회에 첫발을 내딛는 대학 졸업생들에게 던진 한 마디는 “살면서 누구의 말도 듣지도 믿지도 말고, 자신만을... -
음악과 잡생각
Gustav Mahler의 5번 교향곡 Adagietto가 잡생각의 시작이었습니다. 비는 오고 복잡한 머리를 식히고자 조용한 이 곡에 파묻혀 있었습니다. 이 곡은 Morte a Venezia라는 영화에 삽입되며 널리 알려졌습니다. Death In Venice • Mahler Symphony No 5 Adagiett...
정리된 글 잘 읽었습니다. 이런 주제는 창공님 전문 분야로 알고 있죠. ㅎㅎ 몰입은 행복이다! 생을 행복하게 보내려면, 몰입이 이루어져야 한다. 절대 공감하며 부단히 시도하고 있습니다. 행복하게 하는 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