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칼 11> 자물쇠와 어머니

-
상가고인의명복을빕니다. 부디 평안한 그곳에서 영면하시기를요.
-
어머님의 평안한 영면을 기도드립니다. 저도 노모를 모시는 상황이라 남의 일이 아닙니다. 유족 모두에게 위로를 전합니다.
-
?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창공님과 가족께도 심심한 위로의 말씀 전합니다.
-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어머님 더이상 아픔 없는 곳에서 부디 평안하시길 기도드리고 창공님과 가족분들도 부모님과의 소중했던 추억들 떠올리시며 평온과 위로 받으시길 바랍니다.
-
?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부디 평안하시길 기원드립니다.
-
?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큰슬픔에 창공님과 가족분들께 위로를 전합니다.
-
창공님 어머님의 명복을 빕니다. 위 기사 (https://shorturl.at/tBNZ4)를 읽어보았습니다. 역시 결론은 가진자나 갖지 못한자나 모두 불안은 존재한다. 그래서 더불어 사는 우리들이 서로 돕고 연대하는것만이 불안에서 해방될수있다는 것을 강조했군요.
의사인 Gabor Maté는 "가장 단단한 껍질을 가진 갑각류가 먼저 털갈이를 하고 부드러워지듯이 가장 강력한 나무가 자라려면 부드럽고 유연한 새싹이 필요하다." 정서적 취약성 없이는 성장이 없다고 그는 생각했다. 사회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우리가 공유하는 실존적 불안을 인식하고 그것이 현재 우리에게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이해하는 것은 연대를 구축하는 첫 걸음이 될 수 있다. 결국 연대 (Solidarity)는 우리가 가질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안보 형태 중 하나이다. 위기에 처한 이 지구상의 인간으로서 우리가 공유하는 곤경에 함께 맞서는 안보가 바로 연대인 것이다.
Insecurity, after all, is what makes us human, and it is also what allows us to connect and change. “Nothing in Nature ‘becomes itself’ without being vulnerable,” writes the physician Gabor Maté in “The Myth of Normal.” “The mightiest tree’s growth requires soft and supple shoots, just as the hardest-shelled crustacean must first molt and become soft.” There is no growth, he observes, without emotional vulnerability.
The same also applies to societies. Recognizing our shared existential insecurity, and understanding how it is currently used against us, can be a first step toward forging solidarity. Solidarity, in the end,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orms of security we can possess — the security of confronting our shared predicament as humans on this planet in crisis, together.
-
?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창공님과 가족분들께 위로를 전합니다
-
?
고통 없는 곳에서 편히 쉬시길 기도합니다. 창공님과 가족분들도 평안 하시길 바랍니다.
-
?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
삼가 심심한 조의를 표합니다. 아울러 유족들의 강건하심과 치유를 바랍니다.
-
고인의 명복을 빌면서 삼가 조의를 표합니다.
-
?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부디 평안한곳에서 영면하소서....
창공님 글 잘 읽었습니다..
우주에서 볼때 살아있음이란, 너무나도 너무나도 비정상적인 현상 (singularity)이란 생각에 개인적으로 동의하고 있습니다.
죽음 앞에서, 그 불안함의 원인이 무엇이던, 자유롭기란 어렵고, 다만 한없이 겸허해질수 밖에는......
그래서
오늘도 하루 숨쉬며, 살아감에 대한 깊은 감사. 일상에서오는 소소한 즐거움을 느끼며, 생각하며,
마지막날까지
지내고자하는 바램으로 살아냅니다..
힘든시간들 잘 이겨내시고
조만간 만나, 이런 저런 살아가는 이야기, 그간 정리된 생각들 듣기를 바랍니다.
-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빌며 …남은가족분들 께도 심심한 위로의 말씀을 드립니다.
-
삼가 고인의 명복을 기원드립니다. 가족분들께 위로를 전합니다.
-
창공님과 가족분들께 삼가 조의를 표하며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
?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빌며 창공님께 깊은 위로의 마음을 전하고 싶습니다
-
창공님, 어떠한 위로의 말씀을 드려도 상심이 크시겠지만, 애도를 표하며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
?
창공님. 어머님의 명복을 빕니다. 어머님과의 좋은 기억들이 위안이 되기를 바랍니다.
-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얼마나 상심이 크십니까. 가족분들께 위로의 말씀 전합니다.
-
큰 슬픔을 당한 창공님과 가족분들에게 삼가 위로의 마음 전합니다.
사랑하는 어머님 ,이제 편히 쉬세요.
다시 반갑게 만나 뵈올때까지..
미국 이민와서 살면서 가장 쓰라리고 가슴 아픈일은
엄니를 곁에서 모시지 못하고 ,
바로 말하자면 버리고 떠나온 불효 막심함 입니다.
미국땅이 뭐라고 울 엄니 두고 떠나 왔을꼬...
돌아가는 비행기안애서 얼마나 맘이 슬프고 아펐을지.
.
-
?
창공님, 어려운 일 당하셨네요. 마음 추리시고 산행에서 뵐게요. 제 어머니가 7년전에 돌아가셨을때도 창공님과 비슷한 마음이 들었어요. 이제 고아이고 마음의 고향은 없어졌구나… 정리 잘 하시고 곧 자연에서 뵙죠.
-
삼가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어머님께서 편히 쉬시기를 기원합니다.
-
창공님과 슬픔 당하신 유족에게 위로의 마음을 전합니다. 어머님의 평안한 영면을 기도합니다.
-
?
어머님에 대한 창공님의 애틋한 그리움이 뭍어나네요.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
?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창공님과 가족분들께 위로를 전합니다.
-
창공님, 짧은 기간에 두 번의 어려운 일을 겪으셨군요. 안타깝고 슬픈 마음이 듭니다. 특히 유품을 정리 하실 때의 심정은 글로써도 충분히 공감이 갑니다. 이제 마음 추스리고 견더내십시요.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
창공님과 가족에게 위로의 말씀을 전하며 어머님께서 좋은곳에서 영면 하시길 바랍니다.
-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창공님과 가족분들께 위로가 함께 하시기를 바라겠습니다.
-
?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아픔 없는 하늘 나라 에서 평안 하시길 기도 드립니다.
-
?
삼가 심심한 조의를 표합니다
-
?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
본의 아니게도, 제 어머니 상과 관련 개인적 소회의 글을 올려 우리 산악회 홈피를 상가집 분위기를 만들었다는 생각이 듭니다. 이 점 낯부끄럽고 죄송스럽게 생각합니다. 그럼에도, 조의를 표해 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 드립니다. 살아계시든, 이미 타계하셨든, 우리 누구에게나 어머니가 계셔서 이렇게 공감을 표시해 주신 거로 믿습니다. 더욱이, 이국 만리 고국에 어머니가 계신 분들한테는 말할 것도 없고요. 이 점에서 제 어머니는 우리 모두의 어머니이기도 하겠고요.
이 참에, 위에서 선비님이 지적하신 대로 우리가 살아있음이 얼마나 희귀한 일인지 느껴보고 살아있는 동안 감사하면서 치열하게 산행도 열심히 하는 산악회가 되길 바래 봅니다.
-
?
죄송합니다...이제 글을 봤네요.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어머님이 부디 평안히 가시길 기원드리고 창공님과 가족분들께도 위안의 기도를 드립니다. 날마다 살아있고 건강한 몸으로 산행 같이 할수있음을 항상 감사드립니다.
-
?
조의를 표하며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
?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창공님의 글에서 "탈동일시"에 대해서도 공감이 큽니다..
-
?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
?
삼가고인의명복을 빕니다 한국에 부모님이 계신분들은 모두같은 마음일꺼예요 유가족분들께 위로를 전합니다
-
?
아 그렇게 힘든 시기를 지나오셨군요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창공님과 가족들 모두에게 평화와 신의 가호가 함께하길 기도합니다
-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창공님 그리고 가족 모두에게도 위로의 맘 전해드립니다
-
삼가 조의를 표합니다. 어머니께서 불안과 걱정이없는 평안한 곳에서 영면하시기를 기원합니다. 창공님도 마음 잘 추스르시고 일상으로 회복 잘 하시기를 기도합니다.
-
?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창공님과 그의 가족에게 심심한 위로의 말씀을 전합니다..
-
?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자물쇠 사진들이 참 마음이 아프네요. 창공님과 가족분들께 위로의 맘 전해드립니다.
-
이제야 이 글을 읽게 되었습니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평안한 곳에서 영면하기를 바랍니다. 제 어머니는 58세의 젊은 나이에 불의의 사고로 돌아가셔서 비자 문제로 당시 가보지도 못했는데, 제가 그 나이에 가까와지는게 인생무상이 느껴지는군요. 58세든 90세든 어머니를 잃은 슬픔은 형언할 수 없슴을 절감합니다. 웬지 저도 주변정리를 해야 자물쇠가 줄어들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소유욕과 물욕에 대해 반성하는 계기도 되는군요. 하루 빨리 슬픔에서 벗어나는 길은 스스로를 바쁘게 만드는 게 좋을듯합니다. 이것 또한 쉽지 않겠지만.
-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
?
이제야 봤네요. 늦게나마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저도 1 년 전 어머니가 돌아가셔서 유품 정리하던 기억이 납니다.
-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
?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창공님과 가족님 모두에게 위로의 말씀을 드림니다.
-
?
창공님. 먼 훗날 다시 만날 어머님을 기대하며 마음의 위로를 전합니다.
-
<창칼 36> 참을 수 없는 존재의 얄팍함
<창칼 36> 참을 수 없는 존재의 얄팍함 그리고 무게감 남자는 가벼운 연애를 좋아해서 한 여자말고도 또 다른 여자와도 만나 연애를 즐기고, 그를 좋아하는 여자는 그 남자만 바라보며 지고지순한 사랑을 펼친다. 또 다른 남자는 한 여자에 대한 순수한 이상적... -
No Image
사카모토 류이치: ARS LONGA VITA BREVIS
얼마전 우연히 사카모토 류이치가 죽었다는 소식을 뒤늦게 알았습니다. 아카데미 음악상을 수상한 영화 음악가로 영화 음악 외에도 80년대 Japanese electronic music으로도 세계적으로 활동했었죠. 사카모토가 영화음악가로 활동하게 된 것은 영화 "감각의 제... -
단오와 히레사케
목표는 북악산 팔각정이었다. 화창한 주말 봄 날씨에 어두운 집에서 뒹굴 수는 없었다. 아침 일찍 자전거를 끌고 나왔다. 선글라스와 선크림으로 얼굴을, UV 차단 토시로 노출된 팔을 완벽하게 가렸다. 물안개가 피어오른 양재천에서 새소리를 들으며 속도를 ... -
<창칼 35> 멈추고 가만히 바라보면 보이는 것들
<창칼 35> 멈추고 가만히 바라보면 보이는 것들 (1부) 명상이라는 단어가 일상적으로 입에 오르내리는 시대가 되었다. 이런 명상의 인기는 스트레스와 불안이 넘치는 현대 생활의 반영이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명상의 대중화에 비해서 과연 명상이 무엇인지,... -
<창칼 34> 근테크를 얼마나 하시나요?
<창칼 34> 평소에 근테크를 얼마나 하시나요? 노화를 늦추는 방법에 요즘처럼 관심이 많았던 적이 있었나 싶다. 그만큼 방송, 신문, 유툽, 출판물 등에서 노화 예방에 대한 정보들이 넘쳐난다. 모든 게 과하면 독이라고 이럴 때일 수록 가장 중요한 정보에 집... -
<창칼 33> 어쩌면 악한 사람은 아주 가까이에 있을지 모른다
<창칼 33> 어쩌면 악한 사람은 아주 가까이에 있을지 모른다 (부제: ‘악’에 대한 두 개의 시선) 살아가다 보면 평범하고 정상적으로 보이는 사람한테서 예기치 않게 가혹한 화를 당하는 경우가 있다. 그게 배신이든 억울한 누명이든. 이와는 좀 다르지만, 주어... -
첫번째 요리 이야기
첫번째 요리 이야기 지난번 저희들 홈페이지에서 백호님과 올가닉님이 후기에서 Point Reye 지역과 Bodega Bay 지역에서의 미루가이 조개 채취에 대해 언급하신걸 본적이 있습니다. 제가 좋아하는 식재료이고 해산물 요리는 저의 전공분야라 흥미가 발동해 요... -
<창칼 32> 불평등을 사랑하는 나라 (2부)
<창칼 32> 불평등을 사랑하는 나라 (2부) 때는 2020년 9월, 독일의 40여개의 도시에서 일제히 정부에 항의하는 성난 시위대들이 거리로 쏟아졌다. 당시 독일 총리가 그리스에 머물던 난민 1만2천명 중에서 천5백명을 받겠다고 선언한 뒤에 벌어진 일이다 (링크... -
<창칼 31> 불평등을 사랑하는 나라 (1부)
<창칼 31회> 불평등을 사랑하는 나라 (1부) 이 세상에서 권력이나 부를 많이 가진 사람들을 빼고, 불평등을 좋아하는 사람들은 거의 없을 것이다. 하지만 국민의 다수가 실제로 불평등을 사랑하는 나라가 있다고 하면 믿을 사람이 얼마나 될까. “세계 가치관 ... -
개기 일식과 달
이번 개기일식을 관측하신 오가닉님 일행을 멀리서 축하하며 예전 달에 대해 잡설을 푼 것을 다음 link에 소개합니다. 달에 대한 단상 이 중에서 개기 일식과 관련된 것은 이 부분입니다. 지구에서 해와 달의 크기는 같아 보입니다. 이는 지구로부터 해까지 거... -
<창칼 30> 30회 특집 인터뷰
<창칼 30> 30회 특집 인터뷰 2023년 상반기 때 시작된 창공칼럼(창칼)이 벌써 30회를 맞았습니다. 30회를 기념하는 의미에서 특별 인터뷰를 진행해 봤습니다. 호기심녀: 지난번 <창칼 18>에 이어 아주 특별한 인터뷰를 제가 다시 맡게 되어 영광입니다. 그간 <... -
<창칼 29> 인간적인 아주 인간적인, 그리고 너무 불완전한
<창칼 29> 인간적인 아주 인간적인 그리고 너무 불완전한 인간은 만물의 영장이다. 가끔은 인간이 다른 동물에 비해서 그렇게 뛰어난지 의심스러울 때도 있기는 하지만 우리는 하여튼 그렇게 믿고 있다. 더불어, 무엇이 인간적인 것인지를 생각해 보게 된다. ... -
<창칼 28> 그게 뭐가 그리 중한디? (인슐린 저항)
<창칼 28> 그게 뭐가 그리 중한디? (부제: 인슐린 저항의 어마무시한 비밀) 건강 정보가 넘쳐나서 혼란스러운 시대를 살고 있는 우리들. 과정보의 역효과로 오히려 무엇이 중요하고 무엇이 덜 중요한지 헥갈리기도 하고, 반작용으로 ‘다 무시하고 편한 대로 살... -
<창칼 27> 제 눈에 안경과 정신 승리
<창공칼럼 27> 제 눈에 안경과 정신 승리 하루 전에 국민 가수 이효리가 국민대 졸업식에서 연설을 해서 많은 이목을 끌었다. 그의 단촐한 연설에서 사회에 첫발을 내딛는 대학 졸업생들에게 던진 한 마디는 “살면서 누구의 말도 듣지도 믿지도 말고, 자신만을... -
음악과 잡생각
Gustav Mahler의 5번 교향곡 Adagietto가 잡생각의 시작이었습니다. 비는 오고 복잡한 머리를 식히고자 조용한 이 곡에 파묻혀 있었습니다. 이 곡은 Morte a Venezia라는 영화에 삽입되며 널리 알려졌습니다. Death In Venice • Mahler Symphony No 5 Adagiett...